“청정수소 가격이 1kg당 6,000원 이하여야 e-SAF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업체 관계자가 한 말이다.
‘청정수소 가격이 저렴해야 탄소중립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라는 목소리는 바이오연료뿐만 아니라 철강, 발전, 모빌리티 등 청정수소를 사용해야 하는 모든 분야에 해당된다.
현재 국내 그린수소 생산단가는 1kg당 1만5,000원 내외로 추정된다. 정부가 목표한 2030년 3,500원 수준보다 4배가량 높은 것이다. 청정수소의 가격을 낮추지 못하면 이를 활용해 만든 청정제품의 원가가 높아져 시장경쟁력을 잃는다.
이런 이유로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에 사용할 청정수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정부에 원전 월성1호기 운영권 확보와 민간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 등 저렴한 청정수소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 청정수소발전, e-SAF 등 미래 청정산업은 국가의 미래 경쟁력과 관련이 있는 만큼 값싼 청정수소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수소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개발 지원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생산부터 유통까지 이어지는 생태계 전반의 비용을 줄여야 한다.
또 기업들이 과감하게 청정수소 기술에 투자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예측 가능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무엇보다 출범을 예고한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업계는 에너지 정책의 진흥과 환경 정책의 규제가 이해상충하기 때문에 에너지 정책 방향에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를 불식시키기 위해 이해상충을 극복하고,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