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필요한 기술도 개발한다. 핵심은 수소에너지 활용이다.
이재명 정부는 일관성 있는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고자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신설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을 환경부가 이관받으면서 기후에너지환경부로 바뀐다.
수소 정책도 기후에너지환경부로 일원화된다. 부처 간 입장 조율 과정에서 늦어졌던 정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대전환’ 컨트롤타워로써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수소생태계 조성을 담당하며, 국제협력도 추진하게 된다.
한국은 수소차 보급과 인프라 구축 분야에서 강점이 있다. 다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청정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 등에서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정부는 수소산업 전주기 실증에 적극적인 일본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민간도 예외는 아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도요타그룹과 수소충전 설비·부품 표준화, 공동 수소공급망 구축 등에서 협력한다. 양국 경제인단체도 수소·암모니아 공급망 구축과 전력망 연계 등을 협력 과제로 제시했다.
아프리카 남서단에 있는 나미비아공화국은 제주도의 그린수소 사업을 적용하고 싶어 한다. 재생에너지 생산에 최적의 기후 조건을 갖춘 나미비아는 제주의 수소버스를 활용한 그린수소 사업에 관심이 많다.
아프리카 나이지리아에는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속담이 있다. 한국의 수소산업은 한창 성장 중이다. 제대로 된 지원이 없으면 자라나기 힘들다.
아프리카 속담처럼 정부와 민간이 수소산업 성장을 위해 함께 노력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