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분산형 전원의 한 모델인 에너지슈퍼스테이션 SK박미주유소에 설치된 연료전지.(사진=SK에너지)
도심 분산형 전원의 한 모델인 에너지슈퍼스테이션 SK박미주유소에 설치된 연료전지.(사진=SK에너지)

오는 6월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이 개설되는 등 올해 전력시장 개선방향과 분야별 주요 추진사항을 시장 참여자에게 소개하고, 시장제도 변화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전력업계, 학계, 유관 기관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4년 전력시장 개선방향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최근 전력시장 여건과 예상되는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시장 개선방향 △제주 시범사업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과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 △‘전기사업법’ 개정에 따른 직접전력거래 확대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 등 신규 전력시장 제도에 대한 유관기관의 주제발표와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전력시장 전문가 8인이 미래 전력시장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산업부는 오는 2월 제주도에 도입되는 재생에너지입찰제도, 실시간·보조서비스 시장은 재생에너지의 시장참여와 신속하고 유연한 발전계획 수립을 통해 제주지역 계통 불안정을 완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재생에너지전기저장판매사업 등 다양한 직접전력거래 확대방안을 담은 전기사업법 개정안(5월)과 분산에너지특별법(6월) 시행을 통해 분산형 전원 확대와 신산업 창출에 힘을 보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부는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 개설(6월)을 통해 청정수소 보급확대 및 관련 생태계 구축을 선도해 나갈 예정이다.

이옥헌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지난해는 우리 전력시장이 대외 충격에서 회복해 나가는 한편, 국제 에너지 가격 변화에 대한 대응역량 확보, 안정적 계통운영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과제도 확인할 수 있었던 한 해”라며 “올해는 분산에너지, 전력직접거래 등 다양한 전력신산업을 활성화하고, 계약시장 도입 등 전력시장 다원화와 함께 시장 참여자들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편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