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통합발전소,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관리(DR) 등 분산에너지 분야 신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도 미래지역에너지생태계활성화‘ 사업 접수를 30일부터 진행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지역 중심의 분산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오는 6월 시행을 앞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발을 맞춘 움직임이다.
올해 사업규모는 100억 원으로 국비·지방비·민간 부담금 매칭 방식으로 지원된다. 지원 대상은 지자체별 분산형 전원을 활용하는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해 분산에너지 분야 신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 또는 비영리법인 주관의 컨소시엄이다. 선정된 컨소시엄은 사업 수행에 필요한 자금을 국고보조율 최대 70% 내에서 1년간 최대 20억 원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 분야로는 △분산자원 활용 플랫폼 구축 △유연성 자원(ESS 등) 확대 △분산에너지 보급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직거래 활성화 관련 사업 등이 있다.
30일부터 3월 20일까지 사업 접수가 진행되며, 상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www.motie.go.kr)와 한국에너지공단(www.energy.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사업설명회가 2월 1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본격 시행에 앞서 지자체별 특성에 기반한 기업 주도의 창의적이고 다양한 분산에너지 사업 발굴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지역 기반의 분산에너지 생산‧소비 체계 구축을 위해 분산에너지법에 규정된 제도를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