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과 데이비드 터크(David Turk) 미국 에너지부 부장관.(사진=산업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과 데이비드 터크(David Turk) 미국 에너지부 부장관.(사진=산업부)

한국과 미국이 수소, 재생에너지, 원전 등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민관 차원의 정례 채널을 운영하기로 했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7∼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에너지부 제니퍼 글랜홈 장관과 '한미 에너지 장관 회담'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탄소 배출 감축, 에너지안보를 위한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산업·전력 부문의 탈탄소화 등 주요 현안에 관한 국제사회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청정에너지 투자, 첨단 배터리 기술 개발 및 보급 확대, 전력망 혁신, 청정수소 기술 상용화 및 보급, 차세대 원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협력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양국은 청정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장관급 에너지 정책대화와 청정에너지 민관 포럼 정례 개최 문제를 논의하면서 민관 차원의 정례 협력체계 구축에 합의했다.

안 장관은 또 한국이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의장국으로서 '원전, 재생, 수소 등 무탄소에너지 기술 활용을 통한 APEC 역내 청정 전력 확대' 계획을 주요 의제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하면서 관심과 지지를 요청했다.

산업부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탈탄소 전환을 위한 청정에너지 신산업 육성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고 있어 양국의 정례적인 협력 채널의 의미가 커질 것으로 기대했다.

업계는 국가 경제안보의 핵심이 될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태양광 패널, 전력 기자재, SMR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풍부한 제조 역량을 갖춘 한국과의 전략적 협력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 국가인 한국 역시 탈탄소 전환을 위한 기술 개발이 시급하고, 청정에너지 확대와 관련해 급성장하는 에너지 신산업이 차세대 수출 산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측면도 있다.

안 장관은 "유사 입장국 간 안정적인 청정에너지 공급망 구축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동맹국인 한국과 미국의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청정에너지 파트너십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