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과 타니 빈 아흐메드 알 제유디(Thani bin Ahmed Al Zeyoudi) UAE 경제부 대외무역특임장관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정식 서명과 관련해 기자단에게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오른쪽)과 타니 빈 아흐메드 알 제유디(Thani bin Ahmed Al Zeyoudi) UAE 경제부 대외무역특임장관이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 정식 서명과 관련해 기자단에게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맺고 산업, 통상, 에너지 분야에서 전방위적이고 미래지향적 협력을 강화한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진행된 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을 맺고 양측의 에너지‧산업 분야의 유관기관 및 기업들이 총 8건의 협정 및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먼저 산업부와 UAE 산업첨단기술부는 LNG 활용 청정수소 생산 등과 연계해 ‘탄소 포집 및 저장(CCS)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양국 청정수소 공급망을 구축하고 탄소감축에 공동 대응하기로 하였다. CCS 협력에 관한 첫 번째 국가 간 양해각서이다. 

양국은 청정수소 생산 인프라와 CCS 인프라 구축을 추진 중인 양국 기업들의 원활한 사업추진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포집 CO2의 해외 저장소 확보와 NDC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한국석유공사, 삼성E&A, GS에너지 컨소시엄은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ADNOC)와 ‘청정수소 생산 및 도입 공동개발 전략적 합의서’를 체결했다. 

이 합의서는 UAE 루와이스 지역 블루암모니아 사업(harvest 2.0)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UAE 현지 블루암모니아 생산·도입 국내 유통인프라(인수터미널 등) 투자 CCS 운송 등을 포괄하는 수소의 모든 밸류체인에 대해 상호 공동 개발·투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양측은 이를 통해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와 ADNOC는 현재 400만 배럴인 국제공동비축사업의 규모 확대를 논의하기로 했다. 

두 회사는 지난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순방 시 공동원유비축 계약을 체결했었다. 이 계약은 한국석유공사의 유휴 저장시설에 ADNOC가 원유를 저장해 국내외에 판매하되, 국내 원유 수급 비상시 한국이 계약한 물량 전량에 대해 우선구매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번 방한 때 ADNOC는 현재 계약의 물량 확대를 요청했고, 두 기업은 공동비축사업 확대 외에 석유 탐사·개발, 회수 증진 연구개발(R&D) 등까지 범위를 확대해 협의를 지속해나가기 위해 기존 양사 간의 MOU를 수정·연장하기로 했다.

산업 분야에서는 삼성중공업과 한화오션이 ADNOC와 각각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건조의향서’를 체결해 최종 계약까지 성사될 경우 6척(약 15억 달러 규모, 옵션 있음)을 국내 조선사가 수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원전, 탄소감축, 청정수소, 조선 및 석유화학 분야 등 다방면의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성과 추진상황 점검, 애로해소 등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