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미의 관심사는 단연 액화수소다. 그간 국내 수소 시장은 기체수소 중심이었다가 수소버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액화수소 시장도 형성됐다. 이는 기업들의 선제적인 투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정부는 수소 버스·화물차 등 수소 상용차 보급 확대와 액체수소충전소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1월 창원에 액화수소플랜트(하이창원, 1,700톤/년)가 준공한 데 이어 인천(SK E&S, 3만 톤/년)과 울산(효성하이드로젠, 5,200톤/년)에서도 액화수소플랜트가 공식 가동할 예정이다. 

지난 4월에는 인천 가좌동에서 국내 최초의 액체수소충전소가 문을 열었다. 충전소 운영자인 세운산업은 SK E&S와 함께 환경부의 ‘2022년 수소전기자동차 충전소 설치 민간자본 보조사업’으로 선정돼 2년에 걸쳐 총사업비 70억 원의 60%인 42억 원을 국비로 지원받았다. 

‘인천 가좌 액화수소충전소’를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서 하나둘 액체수소충전소가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올해까지 40기, 2030년까지 누적 280기 이상의 액체수소충전소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처럼 국내도 액화수소 시대가 열린 만큼 수소산업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러한 기대감이 현실로 다가오기 위해선 액화수소 관련 기술과 제품의 국산화 개발과 지적재산권 확보가 시급하다. 

창원 등 3곳의 액화수소 플랜트의 액체수소 생산 공정 기술, 핵심 부품 등은 모두 해외기술을 적용했다. 전 세계적으로 린데(독일), 에어리퀴드(프랑스), 에어프로덕츠(미국) 등 3사가 액화수소 관련 기술을 독점하고 있다. 주요국은 액화수소 기술을 국방·항공 우주기술로 분류해 기술유출을 금지하고 있고, 선도기업들은 관련 기술을 특허로 선점하고 영업 노하우를 비공개로 보호해 단단한 기술장벽을 형성하고 있다. 

앞으로 글로벌 수소경제가 활성화되면 액화수소 시장 규모도 크게 성장할 것이다. 후발국가로서 액화수소 관련 핵심 분야의 기술과 지재권 확보를 통해 해외 선도국으로부터 기술적으로 종속되지 않고 해외 시장 진출까지도 가능하도록 이번 기회에 정부가 액화수소 기술의 국산화 개발과 특허 확보 전략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국내 구축 중인 액체수소충전소의 주요 설비도 외국산이다. 액체수소충전소 1곳을 짓는데 70~100억 원이 든다. 여기에 국비가 수십억 원이 투입된다. 초기에 외산 기술도 필요하겠지만 외산 제품의 지배가 오래간다면 국비의 해외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다. 

기체수소충전소도 초기에 외산 설비가 지배했지만 압축기 등의 국산화 개발로 지금은 국산 제품이 적용되고 있다. 액체수소충전소 분야에서도 탱크 트레일러, 펌프 등의 국산화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 대기업이 중소기업이 개발한 국산제품의 활용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SK E&S, 효성중공업, 크리오스, 디앨, 광신기계공업은 지난해 12월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의 사전행사로 ‘액화수소 충전소 국산화 달성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이 구호로만 끝나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이 액화수소 선도국 대열에 합류하려면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부단하게 이뤄져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