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쏠림 현상이 수소차 정비 인프라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수소차 좀 보내주세요. 우리는 없어서 못합니다” 취재차 방문한 인천시로부터 전해 들은 관내 공업사의 말이다. 지방에 위치한 공업사와는 정반대 상황이다. 수소버스가 고장나 수리를 맡긴 한 지방업체는 “지역 내 공업사에서는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답을 받았다”라며 “뿐만 아니라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하는 데도 오래 걸렸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올해 수소버스를 505대 보급할 계획이다. 2월 기준 인천시에 등록된 수소버스 대수가 126대라는 사실을 고려했을 때 엄청난 수치다. 도로에 나오는 수소버스가 많아지는 만큼 정비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시 관계자들은 관내 공업사를 찾아가 수소버스 정비 관련 사항을 꾸준히 점검 중이다. 중간에 멈추는 수소버스가 없으려면 정비소 관리가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관내 공업사의 수소버스 수리 역량을 수시로 확인하는 등 사후관리 체계 정립에 힘쓸 필요가 있다. 수소버스 구매 시 보조금이 지원되긴 하나 여전히 비싸다. 큰 돈을 들여 수소버스를 구매한 운송사의 마음이 돌아서지 않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이상현 기자phe@h2news.kr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