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평택에서 자동차 부품기업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자동차부품산업법(이하 미래차법)’ 제1차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오는 7월 본격 시행되는 미래차법의 취지와 주요 내용을 기업들에 설명하고, 산업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위법령 제정 등에 대한 부품기업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법안 주요 내용은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 대표되는 미래차의 특성을 반영해 소프트웨어(SW)를 미래차 기술과 부품의 범위에 포함 △미래차 기술개발·사업화·표준화 등 미래차 경쟁력의 핵심역량에 대한 전방위적 지원 △미래차 산업의 국내 투자촉진 및 공급망 강화 특례 규정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올해 부품기업들의 미래차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총 3,924억 원을 투입하는 ‘2024년 미래차 연구개발(R&D) 지원방향’과 ‘부품기업 사업전환 성공사례’도 소개됐다.
부품기업 토론회에서는 KG모빌리티, 동하정밀, 엠프로텍, 영화테크, 융진기업 등이 투자지원 확대, 미래차 전환지원사업의 지속 추진, 개발‧시험 등을 위한 장비 지원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래차법 제정으로 미래차 산업으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과 부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가 마련됐다"라며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 선제적 사업재편 지원, 인프라 확충 등을 중점 지원하고, 2024년 9조7,000억 원 규모의 미래차 정책금융도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평택을 시작으로 대구(1월 12일), 울산(1월 16일), 광주(1월 18일)에서 권역별 설명회를 개최하고, 의견수렴 결과를 종합해 하위법령 제정 등에 반영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