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통안전공단 직원이 수소차 넥쏘를 점검하고 있다.(사진=한국교통안전공단)

[토토 사이트 박상우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9일 2023년도 친환경차‧자율차 기술개발을 위한 신규 지원 대상과제에 대해서 통합공고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9월 민·관이 합심해 미래차로의 신속하고 유연한 전환을 위한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올해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차와 자율주행 등 디지털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투자 확대기조를 유지하며 해외수출형 전기기관차 기술개발, 지역 연계형 기반 구축 사업 등 우리 부품업계의 수출지원과 기술개발 역량 제고를 위한 신규과제를 반영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기술개발(2,293억 원), 자율주행 등 디지털 분야(1,383억 원), 기술개발 기반 구축 및 사업화 지원(1,003억 원), 인력양성(315억 원) 등 4개 분야에 걸쳐 311개 과제를 추진한다.

산업부는 2월 10일 기반 구축·사업화 지원 분야 신규사업을 수행할 지자체를 선정하는 공모를 개시, 최근 결과를 발표했다. 사업은 △EV국민경차 상용화 지원 플랫폼 구축사업 △수소상용차 실차 기반 신뢰 내구성 검증 기반 구축 △수요맞춤형 전기다목적자동차 기반 구축 △전기차 충돌 후 배터리 핵심부품 안전성 확보 지원사업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산업화 기반 구축 등 총 5개다.

이 중 수소상용차 실차 기반 신뢰 내구성 검증 기반 구축 사업을 전라북도가 수행하게 됐다.

이 사업은 수소상용차 신뢰‧내구 품질 향상을 위해 연료전지 시스템 및 실차단계 시험평가가 가능한 장비를 구축하고 지역간 연계를 통해 관련기업들에게 시험평가 및 기술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전북도는 국비 50억 원 등 총 153억 원을 투입해 2026년까지 완주에 관련 기반을 구축하며 △수소상용차 실차 기반 시험평가 지원 장비 구축을 위한 수소상용차 신뢰/내구성 검증센터 구축 △구축장비를 활용한 시험평가법 개발 및 시험평가 지원 △지역간 협력 네트워크 등을 수행한다.

이 사업은 충청남도가 수행할 수소상용차 부품 성능 검증 기반 구축 사업과 연계해 추진된다.

충남도가 추진하는 사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전담하고 충남테크노파크가 주관한다. 이들은 2026년까지 국비 50억 원, 지방비 40억 원 등 총 90억 원을 투입해 충남 예산군에 있는 충남테크노파크 자동차센터에 관련 기반을 구축하며 △수소상용차 스택 전력변환장치 등 장비 5종 구축 △수소상용차 부품 시험 평가법 개발 △수소상용차 부품 시험평가 지원 등을 수행한다.

또 전기차 충돌 후 배터리 핵심부품 안전성 확보 지원 사업은 강원도가 수행한다.

이 사업은 전기‧수소차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부품의 안전성 시험평가 장비를 구축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력 및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 간 연계 인프라를 구축해 상호협력을 통한 광역형 종합지원체계를 마련한다.

이 사업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주관하며 2026년까지 국비 43억 원 포함 총 91억 원을 투입해 횡성군 묵계리 133 일원에 관련 기반을 구축한다. △전기차 배터리 충돌 화재 진압장비 등 5종의 시험장비 구축 △지역간 연계 종합지원 서비스 운영 △산학연관 광역 네트워크 협의체 참여 등을 수행한다.

이 사업은 울산이 수행할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및 차량 충돌 안전성 확보 지원사업과 경상남도가 수행하는 수소전기차 연료전지 핵심부품 충돌 안전성 확보 지원사업과 연계해 추진된다.

울산은 2026년까지 국비 48억 원 등을 투입해 관련 기반을 구축하며 △실차 기반 전기‧수소차 부품의 충돌‧충격 안전성 평가 장비 5종 구축 △시험‧평가 지원, 부품 분해/분석, 부품 개발 자문 등 제공 △지역 연계 네트워크 구축 등을 수행한다.

경남도는 2024년까지 국비 9억 원 등을 투입해 관련 기반을 구축하며 △수소누출 안전성 평가 장비 등 수소전기차용 충돌사고 후 안전성 평가 장비 2종 구축 △시험‧평가 지원, 애로기술 자문, 분석 및 동향 등 제공 △지역 연계 네트워크 구축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