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산업 분야 소부장 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수소산업 육성 초기부터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동반성장을 통해 산업경쟁력과 부가가치를 제고하고, 안정적인 수소의 공급·활용을 위해서는 수소 소부장 산업의 기반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수소산업 소부장 기업의 중요성과 정부의 소부장 육성 전략을 2회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주>
정부는 지난해 12월 18일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이하 수경위)’에서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수소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을 위해 수전해, 액체수소 운반선, 수소터빈 등 수소산업 10대 분야 40대 핵심품목을 도출하고 원천기술 확보, 사업화 촉진, 공급망 강화 등을 지원키로 했다.
소부장, 수소산업 이끈다
소부장 역할은 모든 산업에서 중요하다. 특히 첨단산업에서는 더 그렇다. 소부장 기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모빌리티, 배터리 등 첨단산업에 활용되는 핵심 부품을 생산한다. 쉽게 말해, 소부장이 활성화되지 못하면 첨단산업 자체에 타격이 가해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소부장 기술을 습득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다. 기술개발 자체도 어려우나 그 과정에서 수반되는 비용도 감당하기 벅차다.
또 속도가 중요한 제조업 특성상 공급에 문제가 생기면 악영향을 끼치기 쉽다. 성공 가능성도 높지 않아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소부장 산업에 뛰어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수소산업과 같은 신산업의 경우 대체재를 찾기 쉽지 않아 소부장 지원이 절실한 시점이다. 다른 산업의 경우 ‘소부장 특화단지’를 운영하고 있어 상황이 더 낫다. 정부는 소부장 기업 생산역량 향상을 위해 용인에는 반도체, 천안에는 디스플레이, 청주에는 2차전지 등 특화단지를 조성했다.
아울러, ‘소부장 으뜸기업’을 선정해 기술개발, 상업화 등 맞춤형·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21년 22개사를 최초 선정한 이후 작년 기준 66개사가 지정됐으나 그 중 수소전문기업은 찾아볼 수 없었다.
수소가 탈탄소화로 가는 핵심 에너지원이라는 인식이 점점 굳어가는 상황 속, 드디어 정부가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을 발표했다.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소부장 기업 육성이 수소산업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해석이다.
수소산업 분야 소부장 기업으론 이번 6차 수경위에서 액체수소충전소 국산화를 위해 SK E&S와 협약을 체결한 디앨, 크리오스, 광신기계공업 등이 있다. 협약 당사자들은 액체수소충전소의 핵심 설비인 액화수소 저장탱크, 탱크 트레일러, 펌프, 밸브와 기화기, 압축기 등 해당 분야에서 축적해온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기술 개발과 제품 생산에 집중한다.
또 상아프론테크라는 소부장 기업은 수소전기차 연료전지 소재 중 불소계 멤브레인(분리막)을 개발했다. 불소계 멤브레인은 PEM 수전해 장비 스택에 사용돼 수요가 높아질 전망이다. 일진하이솔루스는 타입4 방식의 CNG 압축천연가스 탱크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수소연료탱크를 개발해 현대차에 납품하고 있다.
이밖에도 수소차용 연료전지 스택 핵심 부품인 금속분리판을 생산해 현대차에 공급하는 세종이브이, 탄소지지체·촉매·막전극접합체(MEA)를 일괄 생산하는 비나텍, SOFC 핵심인 단전지·스택 제조 기술을 보유한 미코파워 등 다양한 소부장 기업이 수소산업을 이끌고 있다.
수소 소부장 3대 과제
정부는 이번 전략을 바탕으로 소부장 생태계를 구축해 세계 수소시장 1위 자리를 노린다. 2030년까지 세부 달성 목표도 수립했다. 2022년 40%이던 10대 전략 분야 소부장 국산화율을 80%까지 확대하고, 글로벌 수소 소부장 기업 20개사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핵심 소부장 원천기술 확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 촉진, 글로벌 소부장 공급망 강화 등 3대 과제가 수행된다.
핵심 소부장 원천기술 확보
범부처 연계 지원으로 수소 10대 분야(수전해, 수소충전소, 수소 운반차량, 액체수소 운송선,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 수소터빈, 암모니아 합성·분해, 수소 저장·배관, 수소엔진) 40대 소부장 핵심품목 주요 기술을 핵심전략기술로 신규 지정해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존 4개 지원제도(국가전략기술, 신성장원천기술, 국가필수전략기술, 국가핵심 기술)에 핵심전략기술이 더해져 지원제도가 강화됐다. 핵심전략기술에 포함되면 소부장 R&D 지원, 으뜸기업 지정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연료전지 중심으로 이뤄졌던 지원이 수전해, 수소엔진 등 다른 분야로 다변화된다. 연료전지 R&D는 수소차, 발전용뿐만 아니라 주력산업과 연계한 선박·건설기계·방산 등 신규 모빌리티 분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 현재 기술 향상 중심 R&D 지원에서 수요기업 및 소부장 기업 중심의 활용 가능한 제품 개발지원으로 전환된다. 수요기업 참여 부담 경감을 위해 대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한도를 33%에서 67%로 높이고 현금부담 비율을 60%에서 10%로 완화한다.
수소생산 기술별 맞춤형 추진체계도 개편한다. 정부는 성숙도가 높은 알칼라인, PEM 수전해 등의 기술개발을 전담기관인 ‘국가 수소중점연구실’에 위탁할 방침이다. 기술개발 후 실증 단계에 있는 AEM, SOEC 수전해는 셀·스택 핵심 원천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한 신규 지원사업에 착수한다. 대량의 수소를 상온·상압에서 고효율로 저장해 장거리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국내 자체 기술개발도 지원한다.
2024년부터는 원천기술을 보유한 해외 기업의 국내투자와 국내외 기업 간 국제 R&D 지원 등을 확대한다. 해외 원천기술 도입 이후 신규 협력업체 발굴·육성 등 국내 핵심 소부장 공급망 내재화를 위한 기업 육성 R&D 사업에도 힘을 싣는다.
[다음 기사] 정부, 수소 소부장 지원 팔 겉어붙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