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에너지기구(IEA)가 해마다 발간하는 ‘글로벌 수소 리뷰’를 기반으로 12월호 커버스토리 기사를 썼다. 170페이지에 이르는 원문 보고서를 정리하느라 제법 품이 들었다.

수전해 부문에는 중국의 약진이 돋보인다. 2022년 말까지 전세계에 설치된 수소생산용 전해조 용량은 약 700MW였고, 이 중 30%가 중국에 설치됐다.

올해 성과는 더 두드러진다. IEA는 연말까지 중국에 설치되는 전해조 용량이 1.1GW에 달해 전세계 점유율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이 수전해 부문만 앞선 것은 아니다. 연료전지를 적용한 수소전기차 개발에도 공을 들였다. 애초에 승용은 전기차, 상용은 수소차에 집중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시장의 간섭을 피했다. 그 결과 수소상용차 보급에 가장 앞선 국가가 됐다.  

2023년 상반기 전세계 수소트럭 보급대수는 8,000대가 넘는다. 이 중 95% 이상이 중국에서 운행된다. 수소버스는 올해 6월 기준 약 7,000대가 보급됐고, 이 중 85%가 중국에서 운행된다.

중국산 제품의 품질을 의심하는 사람도 있다. 전해조뿐 아니라 연료전지의 성능과 내구를 꼼꼼히 따져봐야겠지만, 통계 수치에 담긴 성장세만큼은 인정해야 한다.  

한국이 수소전기차 보급대수를 기준으로 세계 1위라는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현대제철 수소공장 내 압축기가 고장 나면서 수도권, 충청과 강원 일부 충전소가 수소 수급에 차질을 빚었고, ‘충주바이오 수소융복합충전소’에서 바이오가스로 생산한 수소를 충전한 차량이 고장을 일으켰고, 그 여파로 충주시 수소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수소 수급 문제, 수소 설비나 핵심 부품에 대한 기술 확보 등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이런 숙제를 풀어가면서 느슨해진 고삐를 바짝 당겨야 할 때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