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올해 수소차를 총 1만3,020대를 보급한다. 특히 수소버스는 성능에 따라 구매보조금을 차등 지급한다.
환경부는 지난 2일 ‘2025년 수소전기자동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지침’을 확정하고 2025년도 수소차 보급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확정된 수소차 보급 지원 예산은 7,218억 원이다. 이를 통해 총 1만3,020대를 보급한다. 이는 지난해 8,550대보다 52.3% 증가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61.8% 늘어난 1만1,000대, 수소버스가 280대 늘어난 2,000대, 수소화물차와 수소청소차는 각각 5대씩 줄어든 10대다.
승용차 보급대수가 크게 늘어난 것은 올 상반기에 출시될 현대차의 차세대 수소전기차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구매보조금 액수는 작년과 동일하다. 승용차는 대당 2,250만 원, 수소트럭은 2억5,000만 원, 수소청소차는 7억2,000만 원이다.
수소버스의 경우 저상버스에 2억1,000만 원, 고상버스에 2억6,000만 원이 지급된다. 다만 작년 8월에 신설한 수소버스 성능평가 기준에 따라 보조금이 차등 지급된다.
정부는 수소버스 차종 다양화에 대비해 성능 좋은 차량의 보급을 유도하기 위해 작년 8월 수소버스 성능평가 기준을 마련했다. 두산의 하이엑시움모터스, 국내 2위 전기버스 기업인 우진산전, 범한퓨얼셀 계열사인 범한자동차 등이 수소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소연료전지 출력, 1회 충전 주행거리 등 총 11가지 수소버스 성능평가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에만 구매보조금이 지급된다. 성능평가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수소연료전지 출력과 1회 충전 주행거리가 일정 기준 미만이면 보조금이 차감된다.
예를 들어 스택출력이 저상버스의 경우 110kW, 고상버스의 경우 160kW 미만이면 1kW당 구매보조금이 60만 원 차감된다. 1회 충전 주행거리가 저상버스의 경우 750km, 고상버스의 경우 960km 미만이면 1km당 6만 원이 차감된다.
이와 함께 수소버스의 신속한 고장 수리 및 안전 점검을 위해 수소버스 제작사를 대상으로 수소버스 정비센터 확충 및 긴급 현장 출동 서비스 제공을 의무화한다.
수소버스 제작사는 수소버스를 보급한 모든 권역에 수소버스 정비센터를 1곳 이상 두어야 하고, 동일 권역 내 100대 이상의 수소버스 보급 시 2곳 이상, 그리고 500대 이상 보급할 경우 3곳 이상의 정비센터를 설치‧운영해야 한다.
아울러 수소버스 연료전지 스택 교체 보조금 대상이 작년보다 2배가량 늘어난 118개로 확정됐다. 다만 지급액은 작년과 같은 5,500만 원(국고 3,500만 원+2,000만 원)이다.
이와 함께 환경부는 수소차의 충전불편 문제 해소를 위해 수소충전소 구축도 가속화한다.
환경부는 올해 전년대비 8% 늘어난 1,963억 원을 투입해 64기 이상을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소버스 보급이 촉진될 수 있도록 기존 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소로 전환하거나 공영차고지에 수소충전소를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수소버스 보급을 촉진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이를 통해 수소충전소 누적개수를 450기 이상 확대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