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ED 골드 인증 받은 친환경 빌딩
롯데월드타워는 서울의 랜드마크다. 지상 123층, 높이 555m로 대한민국 최고층 빌딩의 역사를 새로 썼다. 세계에서 6번째로 높은 이 건물은 지난 2017년 6월 100층 이상 건물로는 최초로 미국 그린빌딩협의회로부터 친환경 건축물 인증(LEED) 골드 등급을 받았다.

외벽의 고단열 유리, 수열과 지열을 활용한 냉난방시스템, 태양열 집열판과 태양광 발전, 우수(빗물) 재활용 시설 등을 통해 총 에너지 사용량의 15%가량을 자체 생산하고 있다.

태양광·태양열 활용
롯데월드타워 단지 곳곳에는 태양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시설이 설치돼 있다. 총 1,355기의 태양 집광판을 에비뉴엘과 롯데월드몰 옥상부, 롯데월드타워 캐노피 등에 설치해 운용하고 있다. 또 건물 일체형 태양광(BIPV)을 외장에 적용하고 있다.

특히 에비뉴엘 옥상(약 300㎡)에 설치된 태양열 모듈로 생산한 열에너지를 지하 6층 에너지센터로 보내 건물의 냉난방과 급탕에 활용하고 있다.

지하 내부에 설치된 800kW 수소연료전지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6층으로 내려가자 에너지센터가 나온다. 에너지센터는 롯데월드타워와 롯데월드몰 지하를 잇는 19,577㎡(약 6,000평) 규모를 갖추고 있다. 수열과 지열 등을 활용한 냉난방시스템, 보일러, 저수조 등의 설비가 들어와 있다.

바로 이곳에 두산퓨얼셀이 공급한 400kW급 PAFC(인산형 연료전지) 두 기가 설치돼 있다. 롯데월드타워 운영사인 롯데물산은 2022년 9월부터 약 20억 원을 들여 탈황기, 개질기, 스택 등 주요 설비를 교체하고 송배전 공사를 완료했다.
롯데물산은 한국전력거래소가 주관한 ‘2024년 일반수소발전 사업자’ 입찰에서 전력거래 판매자로 최종 선정되면서 한국전력공사 등에 전기를 판매할 수 있게 됐다.

롯데월드타워는 2043년 12월 18일까지 앞으로 20년간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통해 연간 약 5,993MWh의 전력을 한전 등에 판매할 예정이다. 이는 월평균 약 240kWh의 전력을 사용하는 세대를 기준으로 약 2,1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친환경 에너지 모니터링
지하 6층의 전기감시실로 향한다. 에너지센터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에너지를 모니터링하는 곳이다. 에너지별 발전량 외에도 일자별·시간별 전력량, 온실가스 배출량, 전년 대비 증감 현황, 에너지 목표 달성률 등 세부 정보가 기록된다.

연료전지 감시시스템 모니터를 통해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롯데물산은 연료전지 전력 판매를 위해 10억 원을 투자해 한전 계통 연결도 마쳤다.

냉난방에 수열에너지 활용
에너지센터에 설치된 친환경 발전 설비 중 가장 규모가 큰 발전 방식은 한강 물의 온도차를 이용한 수열에너지다. 여름에는 수온이 대기보다 낮고 겨울에는 따뜻한 물리적 특성을 냉난방에 활용하고 있다.

롯데월드타워는 하루 5만 톤의 원수를 공급받아 전체 냉난방의 10%인 3,000RT(냉동톤, 1RT는 물 1톤을 24시간 동안 1톤의 얼음으로 바꾸는 냉방열량)를 공급하고 있다. 수열에너지는 냉난방을 위해 건물 옥상에 설치하는 냉각탑이 필요 없고, 도심의 열섬현상 완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