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수소 및 수소파생물(암모니아, 메탄올 등)을 안정적으로 수입하기 위한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독일 경제기후보호부(BMWK)는 24일(현지시각) 연방 내각이 국가 수소 전략을 강화하고 국내 수소 시장을 개발하기 위해 수소 및 수소파생물을 안정적으로 수입하기 위한 전략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독일 정부는 국가 수소 수요가 2030년 95~130TWh, 2045년 360~500TWh(수소파생물 200TWh 포함)에 이를 것이며 이 중 50~70%를 수입해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30년 예상 수요 기준으로 136만~273만 톤을 수입해야 하는 것이다.

독일 정부는 수소 및 수소파생물을 안정적으로 수입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한 것이다.

해당 전략의 주요 내용은 먼저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저탄소수소와 그 파생물을 지원대상에 포함하고 궁극적으로는 청정수소와 그 파생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소, 수소파생물(암모니아, 메탄올, 나프타 등), 수소운반체(LOHC 등) 등 수소수입을 위한 다양한 제품군을 지원한다.

또 수소수입인프라 개발을 추진한다. 철도와 도로는 수소파생물과 수소운반체 운송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기술적, 경제적 이유로 파이프라인을 연결할 수 없는 지역은 선박을 통해 운송한다. 

그 일환으로 송전시스템운영자(TSO)가 독일 수소핵심네트워크 개발을 위한 공식 신청서를 연방 네트워크 기관(BNetzA)에 제출했다. BNetzA는 2개월 이내에 관련 계획을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TSO는 승인 후 바로 착수해 이르면 내년에 첫 번째 구간을 수소로 전환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많은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해 수소 수출입 관련 규제 문제 해소와 기반시설 확대를 통해 가능한 한 광범위한 공급원을 다양화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