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친환경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좌측부터 정유석 현대자동차 부사장, 허상준 KD운송그룹 대표, 추형욱 SK E&S 대표.(사진=현대차)
 '수도권 친환경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좌측부터 정유석 현대자동차 부사장, 허상준 KD운송그룹 대표, 추형욱 SK E&S 대표.(사진=현대차)

액화수소시장 개화를 앞두고 수소상용차 공급 확대가 예상된다. 액체수소는 대량 운송·저장이 가능하며 충전시간도 짧아 상용차 운영에 적합하다. 국내기업도 수소버스 전환을 위해 협약을 체결하는 등 수소모빌리티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현대차·SK E&S·KD운송그룹이 수소버스 전환을 위해 뭉쳤다. 3사는 지난 27일 '수도권 친환경 수소모빌리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서울 SK서린사옥에서 진행됐으며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정유석 부사장, SK E&S 추형욱 대표이사, KD운송그룹 허상준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친환경 수소버스 도입,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 등을 위해 협력하고 수도권 지역에서 수소모빌리티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사는 2027년까지 KD운송그룹이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운행 중인 시내·광역·공항버스 1,0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 데 협력한다. 올해 100대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수소버스 도입을 완료할 계획이다.

수도권 지역 수소버스 정비 지원 강화 및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해서도 힘을 모은다.

현대차는 수소버스의 적기 생산과 공급을 위해 적극 협력하는 한편, 서울·경기권역 정비망을 통해 안정적인 정비 서비스를 지원한다. 아울러, 향후 수소모빌리티 차종 다변화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SK E&S는 수도권 내 KD운송그룹 차고지 등에 액화수소 충전소를 6개소 이상 구축하고, 액화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SK E&S는 올 상반기부터 인천에 위치한 액화수소플랜트에서 최대 연 3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를 생산한다.

KD운송그룹은 향후 도입되는 수소버스를 노선에 투입해 운행하고,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부지를 제공한다.

아울러 3사는 정부, 지자체 등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수소버스 도입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수소사업 전반에 걸쳐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인천시는 2024년까지 누적 700대의 시내버스와 광역·전세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026년까지 인천공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공항버스 300여 대와 서울시 시내버스와 민간기업 통근버스 1,000여 대를 포함한 총 1,300여 대를 보급할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5,000대의 버스를 보유한 국내 최대 운송사인 KD운송그룹뿐만 아니라 다른 운송사들도 수소버스 도입에 나설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정유석 부사장은 “현대차는 다양한 수소차량 개발과 선도적인 기술 지원을 통해 수소사회 전환 가속화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말했다.

추형욱 SK E&S 대표는 “액화수소 기반 수소생태계 구축과 대형버스 등 상용차의 수소차 전환 가속화가 필요하다”라며 “SK E&S는 경쟁력 있는 액화수소 공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을 통해 수소 상용차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허상준 KD운송그룹 대표는 “대중교통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인구∙교통 최대 밀집 지역인 서울, 경기 지역의 친환경 수소버스의 도입이 필수”라며 “보유 차량의 약 50%인 약 2,5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