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추형욱 SK E&S 대표, 이만섭 효성중공업 기전PU 사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대성 크리오스 대표, 임근영 디앨 대표, 권환주 광신기계공업 대표가 '액화수소 충전소 국산화 달성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SK E&S)

[토토 사이트 이상현 기자] SK E&S가 액화수소 충전소 국산화를 위해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과 손을 잡았다.   

SK E&S는 18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효성중공업, 크리오스, 디앨, 광신기계공업과 '액화수소 충전소 국산화 달성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체결식은 국무총리, 관계 장관, 민간위원이 참여해 수소경제 관련 주요 정책을 심의·의결하는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의 사전행사로 진행됐다.

협약 당사자들은 액화수소 충전소의 국산화 달성과 보급 확대를 위해 소부장 기술 지원과 국산 설비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발전시킬 방침이다. 

액화수소 플랜트와 액화수소 충전소 가동을 앞둔 SK E&S와 효성중공업은 기술 지원 및 국산 설비 활용에 나선다.

국내 소부장 기업 크리오스, 디앨, 광신기계공업은 액화수소 충전소의 핵심 설비인 액화수소 저장탱크, 탱크 트레일러, 펌프, 밸브와 기화기, 압축기 등 해당 분야에서 축적해 온 역량을 활용해 기술 개발과 제품 생산에 주력한다. 

이번 협약은 액화수소 사업을 추진하는 대기업과 관련 분야 소부장 중소기업이 함께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힘을 합친다는 데 의미가 있다. 

SK E&S는 국내 액화수소 사업 현장에 국산 설비를 적용할 경우 국내 소부장 기업들이 관련 기술 및 운영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기체수소 대비 경제성·효율성·안정성이 우수한 액화수소가 향후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상황에서 국내 액화수소 소부장 산업을 새 수출 품목으로 육성하고 조선·자동차·항공 등 연관 산업까지 함께 발전을 유도하는 경제 성장동력 확보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SK E&S는 현재 인천 지역에 세계 최대인 연 3만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의 기계적 준공을 마치고 시운전에 돌입했으며, 조만간 공식 상업가동을 앞두고 있다. 또 생산한 액화수소를 유통하기 위한 인프라인 액화수소 충전소도 약 40개소 구축을 추진 중이며, 올해 말부터 순차적으로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또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운영 과정 전반에 걸쳐 액화수소 탱크, 저온 열교환기, 밸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춘 국내 기업과 협력 중이다.

추형욱 SK E&S 사장은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다양한 국내 소부장 강소기업과 함께 액화수소 생산 및 충전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내 액화수소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끌어올릴 것"이라며 "원활한 수소 수급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