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토 사이트 성은숙, 이상현 기자] 국토교통부가 수소도시를 확산한다. 1기 수소도시(평택, 남양주, 당진, 보령, 광양, 포항)에 이어 경기 양주시, 전북 부안군, 광주광역시 동구를 2기 수소도시 조성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수소 에너지원을 공동주택, 건축물, 교통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소생산시설, 이송시설(파이프라인, 튜브트레일러 등), 활용시설(연료전지 등) 등 도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9년 수소도시를 체계적으로 조성해 나가기 위해 수소도시 로드맵을 마련했으며, 이에 따라 3개 도시(울산, 전주·완주, 안산)를 시범도시로 선정해 수소인프라를 구축해왔다.
7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3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orld Smart City Expo)'에서 수소도시 융합포럼 컨퍼런스 '지피지기(知彼知己), 세계와 소통하는 수소도시 컨퍼런스'가 열렸다.
이날 연사로 △김성종 KAIA 수소도시추진단·SOC플랜트사업실장 △호세 미구엘 세풀베다 토레스(José Miguel sepúlveda Torres) 칠레대사관 상무관 △디테 론데 바이스(Ditte Rønde Veise) 덴마크혁신센터 서울지사장 △빅터 리(Victor Lee) 주한 캐나다 앨버타주 한국대표 △빈 왕(Bin Wang) 독일 연방재료시험연구소(BAM) 프로젝트 리더 등이 참석했다.
김성종 KAIA 수소도시추진단·SOC플랜트사업실장은 '한국의 수소도시 구현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 2기 수소도시 조성사업(2024년~2027년)에 대해 언급했다.
대상지별 구축 목표로 △경기 양주시는 내륙거점형 친환경 수소도시 △전북 부안군은 그린수소 생산기지와 연계한 에너지 자립 수소도시 △광구광역시 동구는 위생매립장 부지를 활용한 수소도시 등을 제시했다.
다만 이같은 내용은 검토 중인 사항으로 향후 변경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실장은 수소도시의 장기 인프라 구축을 강조했다. 정부는 2040년까지 청정수소 생산률을 70%, 수소충전소를 1,200기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그러나 아직 청정수소 공급률은 낮은 실정이다.
그는 "수소도시 운영 목적인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기 위해선 궁극적으로 그린수소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선 상용화 가능한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과 그린수소 수입을 위한 액화수소 운반 등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블루·그린수소 생산시설 확대 △액화수소 공급망 추진 △통합운영안전센터 통합 관리 △수소활용 분야 확대, 지역특화 활용 분야 발굴 △R&D 투자를 통해 그린수소 생산·저장·이송수단 다변화, 수소 활용기술 확대 등을 수소시범도시 사업 추진에 따른 시사점으로 꼽기도 했다.
이어서 진행된 토론은 이수출 경북대학교 교수·수소도시융합포럼 산학협력 분과장이 좌장을 맡고 △안지영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수소경제) △이광원 호서대학교 교수(수소안전) △이정찬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수소도시) △김용규 미래기준연구소 팀장(수소표준) 등이 패널로 참여했다.
안지영 부연구위원은 수소 분야에 원활한 장기·대규모 투자가 이뤄지기 위해선 확실한 수요처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또 국내 수소 활성화와 국내 전반의 수소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수소도시와 같은 지역 차원의 수소 생태계 조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수소도시가 장기적으로 수소 허브 혹은 수소 클러스터로 확장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소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수소도시 조성 초기부터 청정수소 중심의 수소도시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광원 교수는 수소도시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수소관련안전기준의 현황과 규제특례안전관리, 향후 수소안전기준 등에 대해 살펴봤다.
이정찬 연구위원은 수소도시 고도화는 청정수소 전환과 활용처 다변화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 수소도시 추진전략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전히 화석연료 기반의 부생수소와 개질수소가 중심인 점 △시범사업이 도시 내 수소배관망 구축에 국한된 점 △수소도시 사업모델이 주거와 교통 분야에 국한된 점 △기술적 한계가 있고, 해외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점 등을 국내 수소도시사업의 한계점으로 지적했다.
개선 방안으로는 △블루·그린수소 생산시설 확대, 친환경 수소생산시설 구축 △광역연계 수소도시 구축으로 도시간 수소공급망 확충, 액화수소공급망 구축 착수 △수소 활용 범위를 산업·의료·문화·복지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지속적인 R&D 투자 등을 제시했다.
김용규 팀장은 새로운 수소 기술에 대한 국제표준화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수소 표준과 국제적인 표준의 조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산업현장에서의 수소 표준 활용 실사례와 결과를 분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토론을 마무리하면서 안지영 부연구위원은 "수소도시 조성 자체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 수단으로 제시됐던 만큼 계획대로 잘 이행되면 좋겠다"라며 "연료전지는 청정수소 활용에 제한적이라는 제약이 있는데, 연료전지를 넘어선 청정수소 발전이 가능한 부분이 수소도시에 추가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광원 교수는 "수소도시에 대한 안전관리 계획을 세우고, 수소설비 위험성 평가를 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도 여러번 하면서 수소도시가 사고 없이 진행되도록 많은 노력을 해줬다"면서 "이런 노하우를 다른 나라에 전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