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남부발전이 세종시 누리동에 건설 중인 LNG 열병합발전소 ‘신세종빛드림’에 올 상반기에 수소 혼소 설비가 도입된다.(사진=행복청)
한국남부발전이 세종시 누리동에 건설 중인 LNG 열병합발전소 ‘신세종빛드림’에 올 상반기에 수소 혼소 설비가 도입된다.(사진=행복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수소도시로 만들기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의 목표는 화석연료에서 청정수소로의 에너지체계 전환이다. 탄소배출이 없고 수송·저장이 가능한 수소가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라는 판단에서다. 

행복청은 그간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보급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설치 제약사항이 많고 시간·계절별 에너지수요 편차에도 대응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어 수소를 채택했다는 게 행복청의 설명이다.  

행복청은 올해 에너지 전환과 수송 부문에 중점을 두고 수소도시 조성을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LNG 열병합발전소에는 상반기 내 발전연료에 수소를 섞어 연소하는 설비를 도입한다. 약 30%의 수소를 혼합해 발전하면 기존 대비 탄소배출량의 10%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버스 등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한 수소 충전 인프라 확충에도 힘쓰기로 했다.

현재 행정중심복합도시엔 승용차용 수소충전소 2개소가 운영 중이며, 수소버스 운영을 위한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도 대평동에 준공된다. 또 수소차 이용현황과 보급추세 등을 면밀히 분석해 향후 수소 교통 추진전략을 제시할 계획이다. 

김승현 행복청 녹색에너지환경과장은 “미래 세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도 청정수소로의 에너지 전환과 수소차 상용화 등 수소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