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산업은 정책사업으로 봐도 무방하다. 정치와 떼려야 뗄 수가 없다.

5월 초에 치른 호주 총선에서 ‘반(反) 트럼프’ 진영이 승리했다.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가 21년 만에 연임에 성공하며 중도 좌파 성향의 노동당이 다시 집권했다. 이로써 수소 1kg당 2호주달러(약 1,770원)의 그린수소 생산 세액 공제 지원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한국은 사정이 조금 다르다.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탄핵으로 조기 대선의 어수선한 정국에 ‘정책 선거’의 의미가 퇴색된 감이 있다. 하지만 공약을 들여다보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수소에너지를 대하는 방법론에서 로고 색깔만큼이나 선명한 차이가 있다.

수소산업으로 한정해서 보면 국힘은 ‘원전’, 민주당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에 무게를 두고 있다.

국힘은 원전 비중을 60%로 늘려 저렴한 전기를 공급하려 하고, 민주당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 가속화, 탄소중립 산업전환을 목표로 한다.

21대 대선을 앞두고 840명 이상이 활동하는 국내 최대 수소커뮤니티 단톡방에서 ‘수소, 수소화합물, CCUS 정책 건의’라는 제안서를 만들었다. 기업과 지자체의 수소 담당자, 연구기관과 학계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단톡방인 만큼 요구사항이 구체적이고 명확하다.

이 문건에는 △수소공사 설립과 운영 △청정수소 및 청정수소화합물 인증제 개선 △그린가스 배관망 구축 △청정수소 생산 및 공급 지원 정책 등 7개의 제안이 담겨 있다.

단톡방 방장인 김기동 아헤스 전무는 “그동안 수소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청정수소, 청정수소화합물 개발과 보급이 가능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결국 청정수소로 가야 한다는 점, 이를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는 현실적인 정책이 일관되게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소업계 유권자들의 이런 목소리가 차기 정권에서 하나의 정책과 제도로 반영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