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5일 미국의 제47대 대통령 선거 결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었다. 이번 대선 전에 대부분 전문가는 석유·천연가스 중심인 트럼프가 당선되면 수소 및 재생에너지 산업의 입지가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수소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축소 또는 폐지 여부가 가장 주목된다. 미국은 IRA의 청정수소 생산 세액공제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어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청정수소의 생산과 국내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미국 현지 관계자의 전망을 유심히 들어볼 필요가 있다. 미국수소협회 프랑크 월락(Frank Wolak) 회장은 한국수소연합이 지난 11월 21일 개최한 ‘트럼프 2.0 시대 - 글로벌 수소경제 전망 및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IRA 세액공제 일부가 폐지될 가능성이 높고, 초당적 인프라법(BIL)에 따른 보조금 집행도 축소되어 광업·화석연료 생산 지원으로 자금이 재배치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또한 “트럼프 정부의 수소 지원이 감소하면 미국 내 투자 잠재력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면서 “미국 기업들이 수소에 관심이 더 많은 다른 나라와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해당 지역 및 국가와의 수소 기술개발 협력이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특히 트럼프는 현 바이든 정부의 청정에너지 제조 부문 대중국 의존도 축소 및 견제 강화 기조에는 같은 입장이어서 중국 수소시장 동향도 유심히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최근 유럽연합도 중국산 수전해 제품을 규제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전해조 업체들이 중국발 위기감을 크게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이 빠르게 전해조 및 연료전지 선진기술을 흡수하는 동시에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하고 있다. 중국산 전해조의 경우 유럽 기업 제품보다 최대 80%나 저렴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5월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보고서에 따르면 수소산업의 경쟁력 핵심 요소 5개 중 4개에서 중국이 유럽을 추월했다. 유럽이 태양광과 배터리에 이어 수소산업에서도 중국에 밀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이미 국내 전기버스는 중국산이 점령했다. 최근 중국에 수출하고 있는 수소연료전지 핵심부품 소재 기업 CEO를 만났다. 중국 현지 사정을 잘 아는 그는 “중국이 정말 무섭다”라는 표현을 쓰며 “정부의 강력한 지원정책으로 중국의 수소산업과 연료전지 기술이 급성장하고 있다. 우리도 중국 정부처럼 더욱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유럽이 우려하는 것처럼 국내에도 중국산 수소차가 들어와 시장을 점령할 가능성을 상상하면 아찔하다.
한편 상용차를 중심으로 한 수소차 시장 확장으로 중국 수소충전소 구축시장이 급성장 중이다. 코트라는 중국 수소충전소 구축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국내 한 수소 전문기업이 최근 중국 현지 기업과 중국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내용의 MOU를 체결했다.
글로벌 수소경제는 이제 초기 단계라 최종 패권국은 가려지지 않았다. 다만 중국의 성장세를 간과할 수 없다. 국내 산업은 경제 대국 미국과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미국과 중국의 수소 정책·시장과 기술개발 동향을 면밀하게 지켜보면서 우리의 대응전략과 수소기업 지원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는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