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1 가스생산시설 전경.(사진=한국석유공사)
동해-1 가스생산시설 전경.(사진=한국석유공사)

‘동해가스전 활용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이 지난 5일 개최된 2024년 제1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됐다.  

‘동해가스전 활용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산업부 주관, 해수부 협조)은 울산·부산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허브 터미널에서 압축·액화한 후 해저 파이프를 통해 동해 폐가스전 고갈 저류 층에 주입·저장하는 사업이다. 특히 울산지역 산업단지 내 수소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는 블루수소 생산사업과 연계된 국내 최초 상용 규모 CCS사업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핵심기술 확보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산업 생태계 조성의 초석이 될 전망이다. 총사업비 2조9,529억 원(국비 8,169억 원, 지방비 888억 원, 민간 투자 2조472억 원), 사업 기간은 6년(2025년~2030년)으로 기획됐다.

산업부는 이 사업을 통해 2030년부터 연간 12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간 산업부는 산학연 전문가, 해수부·지자체 등으로 구성된 기획위원회를 20여 차례 이상 운영하며, 사업 기획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밝혔다.

최연우 에너지정책관은 “대규모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반 구축과 기술혁신을 통해 우리나라가 세계를 선도하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예비타당성 조사를 조속히 통과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