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토 사이트 이종수 기자] 정부는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을 지원해 청정메탄올 생산 규모를 오는 2027년 20만 톤에서 2030년 50만 톤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 이하 탄녹위)는 23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2023년 제5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IMO(국제해사기구)의 2050 넷제로 선언에 따른 선박 탄소배출규제,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등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하면서 기후변화규제는 경제이슈로까지 진화하고 있다.
넷제로 달성을 위해 전 세계의 친환경 연·원료 대체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국내 준비는 매우 더딘 상황이다. 이는 국내 주력산업인 조선·해운, 자동차, 석유화학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시급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탄녹위는 청정메탄올 신산업 창출을 통한 국가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와 NDC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3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청정메탄올 생산 목표는 2027년 20만 톤, 2030년 50만 톤으로 정했다.
먼저 청정메탄올의 생산여건 개선을 위해 수소·탄소원 등의 원료 물질을 확보하고, 기술확보 및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R&D 투자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계통 미연계, 과잉생산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바이오자원의 활용방식을 개선해 바이오 그린수소 생산을 확대해 경제성 있는 수소를 확보한다.
유기성폐자원(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하수찌꺼기 등)을 활용한 바이오가스화 시설 지속 확충 및 바이오매스발전소 내 CO2 포집을 통해 재생 탄소원을 확보하고, 발전·철강·시멘트 산업에서 발생한 CO2의 포집·활용을 추진한다. 차세대 CO2 포집 기술, 수전해 수소생산기술, 바이오자원 활용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도 지속한다.
또한 청정메탄올 품질기준 마련, 친환경선박 전환 지원 등을 통한 수요확보, 금융·공공구매 등 제도적 지원 등 초기 경제성 보강, 지자체와 청정메탄올 생산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시장형성을 촉진한다.
청정메탄올 수요확보를 위해 품질기준을 마련하고, 저탄소제품 인증을 지원하며, 친환경선박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보조금 지원과 함께 한국(부산)-미국(타코마)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추진한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청정메탄올을 포함해 투자를 유도하고, 공공구매를 위한 녹색제품 인증,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등을 통해 초기 경제성 확보를 지원해 나간다.
청정메탄올 생산을 위해 지자체와 관심 기업을 발굴·매칭하고, 폐광 예정지인 태백시 장성광업소 일원을 대상으로 연간 2만2,000톤의 청정메탄올을 생산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청정메탄올 산업 전주기 공급망 구축과 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추진체제로서 민·관이 참여하는 청정메탄올 이니셔티브를 구성·운영한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해수부·산업부·환경부·과기정통부·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산림청 등 관계부처는 탄소중립·녹색성장 달성의 핵심수단인 친환경 연료 및 원료 신산업 창출을 위해 적극 지원키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