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태안발전본부에서 4월 9일 ‘차세대 알칼라인 수전해 설비 실증 성료 기념식’이 열렸다.(사진=한국서부발전)
충남 태안발전본부에서 4월 9일 ‘차세대 알칼라인 수전해 설비 실증 성료 기념식’이 열렸다.(사진=한국서부발전)

한국서부발전은 9일 충남 태안발전본부에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테크로스와 함께 ‘태양광 발전 연계 변동 부하에 대한 알칼라인 수전해 설비 실증 성공 기념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3사는 2021년 1월 수전해 핵심기술 개발, 핵심 소재 성능 향상, 셀 면적 확대, 스택 및 보조시스템 개발·제작 등을 목표로 연구를 시작해 이달 초 50kW급 수전해 설비 실증을 마쳤다.

기존 1세대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은 불안정한 재생에너지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가 필요했지만, 이번에 3사가 실증을 마친 기술은 ESS 없이도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직접 연계 방식’으로 알려진다.

“변동성을 제어할 수 있어 설비 수명이 1세대보다 길고 폭발 위험성이 낮다. 또 설치 비용과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서부발전 관계자의 설명이다.

3사가 실증한 수전해 설비는 1시간에 약 1kg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고, 적층 형태인 스택 방식으로 설계돼 용량을 250kW까지 늘릴 수 있다.

엄경일 서부발전 기술안전부사장은 “차세대 수전해 기술은 2050 탄소중립 달성과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핵심 기술”이라며 “이번 실증과제를 발판 삼아 메가와트급 시스템을 구축해 정부의 무탄소 에너지 계획에 보조를 맞추겠다”고 말했다.

엄경일 한국서부발전 기술안전부사장(앞줄 가운데)이 알칼라인 수전해설비를 살펴보고 있다.(사진=한국서부발전)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