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2030년까지 전체 광역버스의 25%를 수소버스로 대체한다.
11일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서울 중구 로얄호텔서울에서 수도권 광역버스 노선에 수소버스 도입을 확대하기 위한 업무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의 광역버스 노선 업무 담당자와 해당 지역 내 광역버스 운수사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하며, 수소버스에 대한 업무 담당자들의 이해도를 증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설명회는 환경부의 수소버스 보급계획 및 지원 현황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대광위의 광역버스 대상 수소버스 전환 계획 △현대자동차와 하이엑시움모터스의 수소버스 제원 △에스케이 이앤에스(SK E&S)와 코하이젠의 수소상용차용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및 향후 계획 등이 소개된다.
수소버스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등에 따라 2030년까지 누적으로 2만1,200대가 보급될 예정이다. 또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021~2040)’에서 2030년까지 전체 광역버스의 25%를 수소버스로 보급하는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지난달 31일까지 보급된 수소버스는 1,185대이며 수도권 광역버스 노선에 투입된 수소버스는 40여 대다. 실례로 인천종합터미널과 서울역을 오가는 1400번 노선에 수소버스 3대가 운영되고 있다.
이정희 대광위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올해 신설한 준공영제 광역버스 10개 노선(77대) 중 3개 노선(23대)은 수소버스 도입을 조건으로 운송 사업자를 모집 중”이라며 “버스 기점 지역 인근에 수소충전소가 확보된 경우 도입 여건을 검토해 기존 대차 및 폐차 차량뿐만 아니라 신규 광역버스 노선에도 수소버스의 도입을 적극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