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용품 상용화를 위한 검사센터가 전북 완주군에 터를 잡았다. 한국가스기술공사의 수소산업 전주기 제품 안전성 지원센터에 이어 두 번째로 대형 수소산업 검사센터가 들어서는 것이다.
수소용품 검사센터(가칭) 운영자인 한국가스안전공사는 6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수소용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수소용품 검사센터 검사체계 및 검사장비 설명회’를 열었다. 수소용품 검사센터의 검사장비와 제도 등을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설명회는 △수소용품 검사센터 소개 △운영방안 안내 △검사장비 소개 △수소용품 검사방법 및 운반 △제조업체 지원 사업 안내 △수소용품 검사 수요 조사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센터는 수전해·수소추출·고정형 및 이동형 연료전지 등 수소용품의 법정검사를 주로 수행한다. 수소용품은 크게 5개 코드로 운용된다. KGS AH 171 2023, 271 2023, 371 2023, 372 2023, 373 2023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의뢰시험도 진행하며 해외 인증이나 수출 지원도 계획 중이다.
고정형·이동형 연료전지, 공장·현장 제조형 수전해 설비와 수소추출 설비 등 6개 타입 검사가 가능하도록 장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많은 장비를 구매했고 자체 연구개발도 진행 중이다. 궁극적으로 62종 137점의 설비를 도입할 계획이다.
주요 장치로는 수전 발전부·엔진 작동·전기 및 온수 생산 등 연료전지 전반에 걸친 성능 평가 장비, 가스 압력·생산량 등을 평가하는 수전해 설비 평가 장비 등이 있다. 수소 반응이 얼마나 잘 일어나는지, 제품 성능이 예상처럼 나오는지를 검사하는 수소추출 검사 장비도 들여왔다. 연료전지나 수소추출 설비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분석 장비도 구비했다. 수전해, 수소추출 설비에 들어가는 초순수 공급를 위해 초순수 공급장치도 확보했다.
센터는 전북 완주 테크노밸리 제2산업단지 내 3만276㎡ 부지에 연면적 7,760㎡ 규모로 시험동, 본관동, 고객지원동, 용기창고 등으로 구성됐다. 또 사무실 9개, 회의실 6개, 기업지원실 4개를 보유했다.
시험동 상부에는 수전해 및 수소추출 설비를 대상으로 3개 룸이 운영된다. 40피트(12m)와 20피트(6m) 컨테이너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축했다. 연료전지 시험은 4개의 룸에서 진행된다. 시험동 중앙부에는 기계·화학 실험 테스트룸이 있다. 이곳에서는 환경 시험, 내구성 시험, 재료 시험 등이 수행된다.
사업비는 약 490억 원이 투입된다. 검사장비, 부지 등 다양한 면에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익산IC 인근에 위치해 수소용품이 들어오기도 유리하다는 것이 가스안전공사의 설명이다.

이어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한 수소용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1MW급 수전해의 경우 상부 쿨러까지 하면 길이가 5~6m에 달해 운반이 거의 불가하다”라며 센터 내 이 정도 크기의 설비를 조립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한지 물었다.
박희동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용품검사부 과장은 “센터 문이 8m에 달하고 야외에도 공간이 충분하나 문의해준 사항을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제반 비용과 운송비에 대한 지원이 있느냐는 수전해 업계 관계자의 질문에 운송 비용은 제조업체 측이 부담해야 한다는 답이 돌아왔다.
용품 검사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가스안전공사는 현재 센터 운영을 위해 여러 보험을 가입하고 있다. 검사 중 생기는 문제의 귀책사유는 용품 자체 문제인지 시험과정 중 생긴 문제인지에 대해 보험사, 경찰, 검찰 등에서 판단하게 된다.
청정수소 인증과 관련된 질문도 나왔다. 박 과장은 “어떤 설비든 설계 단계에서는 운전을 할 수 없다”라며 “제작 완료 후 안전성 평가가 끝난 상태에서 운전이 가능하기에 검사를 받지 않고 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청정수소 인증 전에 센터를 방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병조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용품 검사센터장은 “참석 업체를 대상으로 검사방법에 대한 건의사항과 개선방안도 수렴해 수소용품 검사센터가 빠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