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이전혁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부문장, 무사베 알 카비 아드녹(ADNOC) 저탄소 국제성장 부문장, 조주익 포스코홀딩스 수소사업팀장이 지난 30일 아부다비에서 ‘청정수소생산사업 공동조사를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왼쪽부터)이전혁 포스코인터내셔널 에너지부문장, 무사베 알 카비 아드녹(ADNOC) 저탄소 국제성장 부문장, 조주익 포스코홀딩스 수소사업팀장이 지난 30일 아부다비에서 ‘청정수소생산사업 공동조사를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사진=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그룹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영정유회사 아드녹(ADNOC)과 손잡고 청정수소 사업에 진출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하 포스코인터)은 지난 30일 포스코홀딩스, ADNOC과 함께 ADNOC 아부다비 본사에서 '청정수소생산사업 공동조사를 위한 전략적 협력 협약(SCA)'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3사는 △LNG를 활용한 블루수소 생산·공급 △수소 생산 시 발생하는 탄소 포집·저장(CCS) 사업 등을 공동 추진한다.

사업은 포스코인터 광양LNG터미널에서 진행된다. 

포스코그룹은 광양LNG터미널을 연계해 블루수소 생산 인프라를 구축한다. 생산된 수소는 광양제철소를 포함해 하동, 여수 등 인근 수요처로 2029년부터 공급된다. 

블루수소가 청정수소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생산 시 발생한 탄소를 포집함으로써 탄소배출을 줄이는 절차가 필수적인 만큼 CCS 사업도 연계한다. CCS분야 리더로 자리잡고 있는 ADNOC과 협력하는 이유다. 

협약 당사자들은 올해부터 광양 내 청정수소 생산설비 구축, 이산화탄소 포집·액화 터미널 규모 산출 등 사업 타당성을 위한 공동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포스코인터의 국내 청정수소 공급 사업의 공식적인 첫발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포스코인터는 설명한다. 이를 기점으로 저탄소 산업공정으로의 전환과 수소혼소 발전을 위한 청정수소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실을 예정이다. 

이전혁 포스코인터 에너지부문장은 "광양은 향후 청정수소 생산 인프라로 활용될 포스코인터의 LNG 터미널이 있는 그룹의 핵심 거점"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여수, 하동 등 인근까지 안정적으로 청정수소를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2035년까지 청정수소 126만 톤 공급 체계 구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광양에 54만 톤, 인천과 포항에 각각 36만 톤을 공급하는 게 목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