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리서치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세계 각국에 등록된 수소전기차 총 판매대수가 1만3,400대를 기록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7.4% 감소한 수치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현대차는 '넥쏘'와 수소버스 '일렉시티'를 총 4,881대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 36.4%로 수소차 시장 선두 자리를 유지했다. 전년 동기에는 넥쏘가 1만700대 판매되며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으나, 올해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55% 감소한 4,601대에 그쳤다. 도요타 미라이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한 3,678대가 판매됐다. 중국 업체들은 수소상용차를 필두로 시장 점유율 34.4%를 기록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의 수소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54.1% 감소한 4,529대로 나타났다. 넥쏘의 판매대수 부진 여파가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은 수소상용차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전기차 시장에 이어 수소차 시장 글로벌 점유율(36.1%) 1위에 올랐다. 수소차는 4,841대가 판매됐으며 전년 대비 16.1% 증가했다.
미국의 수소차 판매대수은 지난해 동기 대비 23.8% 상승한 2,950대를 기록했다. 유럽과 일본의 수소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6.8%, 59.7% 줄었다.
2018년 현대차의 넥쏘가 최초로 공개된 이후 성장세를 이어오던 수소차 시장에 제동이 걸렸다. 수소차 시장 점유율 1위였던 한국의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이상 급락한 점이 원인이다.
국내 수소승용차 차종은 넥쏘가 유일해 소비자 선택지가 한정돼 있다. 또 △수소차 충전 비용 상승 △불량 수소 사고 △수소충전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수소차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반면 중국 정부는 '수소에너지 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2021~2035)'을 통해 수소 인프라 구축, 수소차 보급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은 상용차를 중심으로 수소차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가고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미래 수소경제 핵심은 수소상용차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