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감도.(이미지=경상북도)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감도.(이미지=경상북도)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울진군은 18일 국무회의에서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 예타면제가 의결됐다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하는 국가산단 중 지방권에서 최초로 의결된 것이다.

울진군은 이번 예타면제로 산단 조성을 위한 사업비가 확정돼 산단 조성계획과 더불어 산단 개발을 위한 각종 행정절차가 진행된다. 이어 산단 진입도로 4차선 개설 등 산단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진군 죽변면 일원 158만㎥(약 48만 평)에 사업비 3,996억 원이 투입될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는 울진군에 세워진 원전 10기에서 생산되는 전기(2GW)와 원자력의 고온 열을 활용해 연간 30만 톤의 청정수소를 생산, 저장, 운송, 활용하는 산업단지다.

다수 원전의 열과 전기를 활용하면 ‘무탄소·저비용’ 청정수소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전원별 생산 단가 중 원전이 가장 저렴하므로 가동률을 85%까지 높이면 수소생산단가를 3,500원/kg으로 맞출 수 있다.

경북도와 울진군은 산단에 한수원 등 공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원자력 활용 청정수소 생산·실증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련 기업 집적을 통해 동해안 수소경제벨트(강원-경북-울산)의 선도 거점지역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그 일환으로 다양한 업체와 협의를 진행해 GS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케미칼, GS에너지, 삼성E&A, SK에코플랜트, 효성중공업, DL E&C, BHI, SK D&D, 삼성물산이 입주할 예정이다. 또 원전 전력을 국가산단에 직접 공급하기 위해 산업부, 한전, 한수원 등과 협의하고 있다.

아울러 △첨단전략산업 수소특화단지 지정 △산단 생산 수소 운송 방안 마련 △액화수소 도입 및 출하를 위한 해상터미터널 △육로 운송을 위한 죽변역에서 산단까지 철로 연결 및 국도 36호선 확장, 고속도로 건설 △수소 운송용 파이프라인 건설 △인력양성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